제가 말씀드리려 하는 건 아마 오래된 문제이고.... 쉽게 무시될 수 있는 문제였기에.... 해결이 안된 사항일것입니다.
군산시에서 세금으로 위탁운영하고 있는 유기동물 보호소가 목적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동물정책과에서 과연 얼마나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형식적으로 잘 구성된 문서를 통해 운영현황을 확인하고 있어 발생하고 있는 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지는 않은지...)
유기동물 보호소 "리턴" 은 정말 소중한 생명들을 가정으로 입양 보내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신뢰할 수 있는 활동들이 확인되지 않아 이렇게 글을 씁니다.
(동물 정책과의 운영목적은 동물과 사람이 함께 안전해 질 수 있는 시를 만드는 것일 것이고, 시보호소 리턴의 존재 이유는 유기동물 관리이며 가정으로 입양 보내는 것입니다)
1. 동물 정책과 직원들은 '리턴'의 홈페이지를 방문한 적이 있습니까?
-> 리턴의 홈페이지는 21년도에 멈춰 있습니다.
(아이의 홍보도 없고, 모든 항목의 내용들이 21년에 겨우 1~2개 올린거 외에는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과연 아이들이 가정으로 갈 수 있도록 활동한 근거를 홈페이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 홈페이지 상황만 보더라도 리턴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2. 동물 정책과 직원들은 "리턴"의 입양 홍보가 어떻게,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아십니까?
-> 인터넷 포탈 사이트, 인*그램, 페*이스 북.. 그 어디에도 리턴의 홍보는 찾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가깝게 익산시 보호소는 정말 적극적으로 또 정말 애정 어린 홍보활동을 하고 있음을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설로 운영되고 있는 유기동물 보호소 또한 매우 적극적으로 홍보 활동을 하고 있어, 국내 입양 뿐 아니라 해외입양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동물 정책과 직원들은 안락사 과정을 확인하신적(문서적 제외하고) 있으십니까?
-> 이건 전에도 문제가 거론된 바가 있기에 관리하시는 공무원 분들께 꼭 점검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정말 우려스러운건... 입양홍보활동이 번거로워서 손쉽게 해결될 수 있는 안락사를 결정하는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
** 리턴의 존재 이유가 유기동물 관리인데... 홈페이지에서는 관리 규정 등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어... 안락사 시행 기준은 찾아 볼 수도 없었습니다**
** 적든 많든 세금(지원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입니다. 사설 보호소, 타 시의 보호소와 비교하여 활동 내용이 부족해선은 안된다고 생각하며
존재의 이유인 유기견들 관리와 입양에 더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리턴"이 지속적으로 시 보호소로 위탁될 예정이라면 커다란 변화가 필요하며 늘어나는 아이들로
인력이 부족하다면, 인력 충원도 함께 반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시 보호소 기관을 재 지정 시 홍보실적과 입양률, 또한 안락사율 까지 지정 기준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시 보호소 운영 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는 동물 정책과 직원분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