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19.0℃미세먼지농도 좋음 27㎍/㎥ 2025-04-20 현재

정책제안

환경/위생 시장도 깨끗하게! 쓰레기도 똑똑하게!
강동현 D-25.8377 2025. 4. 15~2025. 5. 15
찬성(0%)
반대(0%)
0명 공감
의견 1 조회 141

[시장 내 쓰레기 분리수거 개선 방안]

 

현재 군산 여러 전통시장에 쓰레기 분리수거구역이 전무한상태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시청에 건의했지만 변한건 없네요!  

 

이번에는 우리 전통시장이 변할수 있도록 많은 분들이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되길 희망합니다.

 

시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가 한꺼번에 섞여 버려지고 있습니다.

(예: 음식물, 플라스틱, 종이, 스티로폼이 한 봉지에 뒤섞여 있음)

 

상인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분리배출을 따로 신경 쓰기 어렵습니다.

(시간이 없고, 어떻게 버려야 할지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분리배출 시설이 없고, 위치가 불편해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시장 쓰레기는 양이 많고 종류가 다양해 분리수거가 더 어렵습니다.

 

분리배출에 대한 안내나 교육이 부족해 잘못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관리 주체가 모호해 방치되기 쉽습니다.

 

결국 쓰레기 처리는 비용과 민원으로 돌아오고, 시장 이미지도 나빠집니다.

 

이에따른 시장 맞춤형 분리수거 시스템 구축

 

시장 특성(상점 형태, 업종 비율, 동선 등)에 따라 맞춤형 분리수거 구역과 전용 용기를 설치.

 

예시: 어시장 → 스티로폼·생선 내장 / 채소상 → 잎채소·플라스틱 박스 등

 

기대 효과: 분리배출률 상승, 상인들의 참여 유도

 

시장형 "아파트식 자원순환 리사이클 구역" 조성을 위한 필요한 조치

 

입지 선정 및 공간 확보

 

조치 내용: 시장 내 적절한 공간(유휴지, 공터, 주차장 일부 등)을 리사이클 구역으로 확보

 

조건: 접근성 좋고, 상인 및 고객 모두 이용 가능

 

형태: ‘공동 분리배출장 + 홍보게시판 + 교육/안내 공간’ 복합 구성

 

공동 분리배출시설 설치

 

조치 내용:

 

쓰레기 유형별 전용 수거함(플라스틱, 종이, 음식물, 스티로폼, 폐비닐 등)

 

악취 차단 및 위생관리 가능한 밀폐형 구조

 

벤치마킹: 아파트 단지의 쓰레기장 형태 + 스마트 클린스테이션 모델

 

아파트식 리사이클 구역 = 상인 중심 자율 관리 + 고정된 분리배출장소 + 스마트 수거 시스템 + 지속 유도를 위한 보상 구조를 통해 깨끗한 군산 전통시장이 되길 바랍니다.

 

KakaoTalk_20250415_190410526

KakaoTalk_20250415_190410526_01

KakaoTalk_20250415_190410526_02

 

의견서작성
1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정다운 0명 공감
2025.04.17 11:14
일단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재활용품만 받아야 하지않나 싶습니다. 음식물쓰레기도 받으면 이것도 되겠지 저것도 되겠지, 쓰레기 투기가 난립하고, 관리가어렵지않을까 걱정됩니다. 음식물쓰레기는 비용도 발생하는것인만큼 따로 설치 또는 따로 운영되어야 하지않나 생각합니다. 또한 재활용품이 안되는쓰레기임에도 끼워넣기, 플라스틱이면 재활용 되겠지 하고 다라이 같은 영구변형되어 재활용안되는 플라스틱(다라이, 식당그릇, 노끈, 한약팩, 샌드위치판넬스티로폼, 오염된 스티로폼)이 유입안되도록 교육또는 관리.,. 그리고 관리자 또는 공동이용자들끼리의 관리체계(1주일마다 돌아가면서 하기, 분담책임제, 분리수거용 투명봉투 비용 처리방안)도 필요하다생각합니다. 사실 아파트가 잘 관리되는건 분리수거 지도를 하고, 분리수거장 관리하는 경비원분들이 있어서라고 생각해서, 시설만 설치하면 무료 쓰레기장으로 되어버릴수 있어 의견써봤습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군산시청 기획예산과 정책계에서 제작한 "정책제안"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에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 공공누리 마크를 클릭하시면 상세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관리부서 기획예산과 정책계
담당전화 063-454-2692
최근수정일 2024-02-01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정보만족도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