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림5.0℃미세먼지농도 보통 42㎍/㎥ 2025-04-13 현재

성매개 감염병

매독

  • 전파경로: 성 접촉*, 수직 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
    *1~2기 매독 환자의 성 접촉 시 약 50~60%가 감염됨
  • 잠복기
    • 1기 매독: 2~3주
    • 2기 매독: 6주~6개월
    • 선천성 매독: 임신 4개월 후 감염 발생, 조기 선천 매독은 생후 2년 내 발병
  • 주요증상
    • 1기 매독: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 없는 구진이나 궤양 발생, 2~6주 후 자연 소실
    • 2기 매독: 감염 6주 ~ 6개월 후 발생 / 발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콘딜롬), 림프절종대 등 발생
    • 3기 매독: 피부, 뼈, 간 등 침범하며 심혈관매독, 신경매독 발생
    • 잠복매독: 임상증상 없이 혈청검사에서 진단되는 매독
      • 조기 잠복매독: 감염 후 1년 이내의 시기로 감염성 높음
      • 후기 잠복매독: 감염 후 1년이 지난 시기로 대부분 감염 시기를 알 수 없음
    • 선천성 매독: 대개 임신 4개월 후 감염
      • 조기 선천 매독: 생후 2년 내 발병, 성인 2기 매독과 비슷한 양상
      • 후기 선천 매독: 생후 2년 후 발병, 절치, 간질성 결막염, 칼정강뼈 등을 보임
  • 치료: 페니실린 요법(정맥주사)
  • 관리
    • 감염인 역학조사 및 추적관찰
    • 감염인과 성 접촉 또는 검체에 노출된 경우 검사 실시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산전 검사, 찔림사고로 인한 감염성 매독 검체 노출 시 예방적 화학요법 제공

임질

  • 전파경로: 환자, 무증상 감염자와의 성 접촉
  • 잠복기: 2~7일
  • 주요증상
    • 남성: 요도염 증상(화농성 요도 분비물, 배뇨 시 통증, 요도구 발적 등)
    • 여성: 자궁경부염 또는 요도염 증상(작열감, 빈뇨, 배뇨 시 통증, 질 분비물 증가, 비정상적 월경 출혈, 항문·직장 불편감 등)
  • 치료: 항생제 치료
  • 관리
    • 1주 이내 추적관찰
    • 증상 발생 또는 진단일로부터 60일 이내 성 접촉 파트너 검사 권장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클라미디아 감염증

  • 전파경로: 성 접촉
  • 잠복기: 1~3주
  • 주요증상
    • 임질 증상과 유사하나 증상·징후 경미 또는 무증상
    • 요도염, 직장염, 결막염 등
    • 다발성 화농성 국소 림프선염
  • 치료: 항생제 치료
  • 관리
    • 치료 후 완치판정 검사는 3주 이후 권장
    • 성 접촉 파트너에 대한 통지 및 관리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연성하감

  • 전파경로: 성 접촉
  • 잠복기: 1~35일(통상적 4~10일)
  • 주요증상
    • 성기 궤양, 림프샘종
    • 생식기로부터 거의 확대되지 않고 전신질환 일으키지 않음
  • 치료: 항생제 치료
  • 관리
    • 증상발현 이전 2주 동안의 성 접촉 파트너는 무증상이어도 환자와 같은 항생제로 예방적 치료 권장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성기단순포진

  • 전파경로: 성 접촉
  • 잠복기: 1차 감염의 경우 5일
  • 주요증상
    • 초기감염: 성기 부위 수포형성 후 궤양 형성 또는 무증상
    • 잠복감염: 초기감염 후 바이러스의 신경절 잠복으로 평생 잠복감염 유발
    • 재발성 감염: 신경절 잠복 바이러스 활성화로 성기 부위 수포와 궤양 형성 또는 무증상 바이러스 분비
  • 치료: 항생제 치료
  • 관리: 해당 없음
  • 예방: 콘돔 사용으로 전파 감소는 가능하나 완전히 예방할 수 없음

첨규콘딜롬

  • 전파경로: 성 접촉
  • 잠복기: 2~3개월
  • 주요증상
    • 내·외음부, 회음부, 항문 주위의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융기 병변
  • 치료: 항생제 치료
  • 관리: 없음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 전파경로: 2~3개월, 자궁경부암 발전까진 평균 10년 이상
  • 잠복기: 2~3개월
  • 주요증상
    • 대부분 무증상, 자연 소멸
    • 지속적 HPV 감염: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전암병변, 음경암, 인·후두암, 항문생식기 사마귀, 호흡기 유두종 병변 등
  • 치료: 물리적 제거술이나 국소적 약물치료를 통한 HPV 관련 병변 제거
  • 관리: 해당 없음
  • 예방: 안전한 성생활(콘돔 사용 등), HPV(사람인두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군산시청 감염병관리과 감염병대응계에서 제작한 "성매개 감염병"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에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 공공누리 마크를 클릭하시면 상세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 관리부서 감염병관리과 감염병대응계
담당전화 063-454-4943
최근수정일 2025-03-26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정보만족도조사
페이지 상단으로

우)54091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수송동로 58 (수송동 군산보건소)

전화번호 : 063-463-5000, 팩스 : 063-463-1470

군산시 홈페이지는 운영체제(OS):Windows 7이상, 인터넷 브라우저:IE 9이상, 파이어 폭스, 크롬, 사파리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